Mushroom Orchestra, Single channel video with OHP projector, 06:29 min on loop, stereo sound, 2019
Camera: Mooni Perry & Chihying Peng
Sound recording: Mooni Perry & Chihying Peng
Cello: Matti Makkonen
Violin: Susanna Mieskonen-Makkonen
exhibition view_Traversing 횡단, Post Territory Ujeongguk, Seoul, 2019
© photo: Byeonggon Shin
<Mushroom orchestra> began with an interest in the Matsutake mushroom. Matsutakes are harvested largely in Oregon, USA, and Yunnan, China. It cannot be cultivated artificially so Matsutake commodity trade relies on mushroom pickers. Matsutake pickers are mostly retired soldier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fugees. For them, some years, there could be enough Matsutake if the growing conditions fit, but some years there could be very few. Even though there are many, it's not certain that pickers can gather enough if they don't know where they are, or if the other pickers have already picked them all. So they live with this uncertainty. In this way, the mushroom trad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we commonly think of as 'high productivity'; strong, healthy workers achieve maximum with minimum effect. In the Czech Republic, there is a composer named Vaclav Halek who wrote a book of music inspired by mushrooms. The artist filmed two Finnish musicians playing scores from this book. She tries to bring the stories surround mushroom with the sound.
<버섯 오케스트라>는 송이버섯의 무역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된 작업이다. 송이버섯은 미국의 오리건과 중국의 운남지역에서 많이 수확되며 인공적으로 재배가 되지 않아 송이꾼에 의존해 무역이 이뤄지며 값이 비싸고 귀하다. 송이꾼들은 주로 퇴역한 군인, 장애가 있는 사람들, 난민들이 많다. 이들은 불확실성에 기대어 살아간다. 어느 해는 생육환경이 맞아 송이가 많이 나고 어느 해는 적게 나기도 하며 많이 나더라도 어디에 있는지 찾지 못하거나 다른 송이꾼들이 이미 수확해 가버리면 그해에는 수입이 적을 수밖에 없다. 이렇듯 버섯무역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높은 생산성’(건장한 노동자가 최소효과로 최대효과를 보는)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체코에 버섯에서 들리는 소리를 작곡해서 악보집을 펴낸 Vaclav Halek라는 작곡가가 있었다. 작가는 이 작곡가의 곡을 연주한 두 명의 핀란드 음악가를 촬영하였다. 송이버섯의 서사를 직접적으로 보여주기보다는 청각으로서 이야기를 호명하고자 하였다.
All Images Copyright Mooni Perry